글쓴이 보관물: Toughman

활기찬 재래시장

예전에 아기 기저귀로 쓰이는 소창이라는 천을 사기위해 재래시장에 갔습니다. 대형 할인점에서는 구할 수가 없어서 재래시장에는 있을까 하고 오랜만에 가게 되었습니다.

시장에 들어서자 마자 포목점 비슷한 곳에 물어보니 판다고 해서 바로 사 가지고 나왔습니다. 수천가지의 상품이 있는 대형 할인점에 없는 물건이 재래시장에서는 쉽게 구할 수 있었습니다.

오랜만에 재래시장에 간터라 잠시 주위를 둘러 보았습니다. 확실히 깔끔한 대형 할인점과는 다른 분위기와 사람냄새나는 정감이 느껴졌습니다. 시장 상인들과 손님들의 활기찬 모습이 좋아보였습니다.

물건값을 흥정하기도 하고 여기저기에 기웃거려 보기도 하면서 오랜만에 재미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재래시장에 가본지 오래되신 분들은 한번 시간을 내셔서 한번 가 보세요. 새로운 활력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목화

얼마 전 집에 돌아와 문을 열려고 하는데 작은 종이가 붙어 있었다. 넘쳐 나는 광고지 중에 하나라고 생각했는데 자세히 보니 솜을 틀어준다는 내용의 광고였다. ‘아직도 솜틀집이 있나…’ 라는 생각을 하면서 어렸을 적 목화에 대한 기억이 떠 올랐다.

요즈음은 목화를 보기가 정말 어려워졌다. 예전에는 이불을 만들 때 많이 필요해서 심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지금은 두꺼운 솜이불을 쓰는 집도 없고 그 솜을 틀어서 가지런히 해주던 솜틀집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내가 어렸을 적에 살던 곳에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솜틀집도 시장에 단 한곳만 있었다. 내 기억으로는 집안에 혼사가 있는 경우에 이불을 만들어 가지고 가려고 목화를 재배하는 것 같았다.

목화하면 제일 먼저 떠 오르는 기억은 솜이 들어 있는 자주색의 동그란 부분을 따서 씹었던 일이다. 아직 자라지 않은 목화를 껌 대용으로 그랬던 모양인데 처음 씹을 때는 아린맛이 강했었다. 계속 질겅질겅 씹고 다니면서 놀았던 기억이 난다. 맛이 있어서 먹었던 것 같지는 않았다.

목화밭에 가보면 아직 피지 않은 것도 있고 하얗게 활짝 핀 목화도 있었다. 다른 것보다 특히 목화는 정말 신기하게 생각했던 것 같다.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닌데 그렇게 부드럽고 하얀 것이 키가 작은 나무에서 나온다는 것이 정말 신기하게 느껴졌다. 목화를 따다가 솜만 모아 놓아서는 그냥 사용할 수 없었다. 그 안에 동그란 씨가 섞여있어서 그것을 제거하고 검불 같은 것을 손으로 하나하나 골라내야만 그제서야 솜이라고 말할 수 있었다.

목화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씨아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했는데 잘 쓰지 않아서 그런지 광 한켠에 보관되어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무거운 것은 아니었지만 어렸을 적에는 상당히 무겁게 느껴졌었다. 목화씨를 제거하는 원리는 간단한데 그때 당시에는 목화씨가 한쪽으로만 떨어지는 것이 정말 신기했다.

지금 생각하면 별 것 아니지만 어렸을 적에는 정말 신기한 도구였다. 씨아는 양쪽에 손잡이가 있고 가운데 동그란 막대기가 두개 놓여져 있다. 손잡이는 혼자서 돌리지 않고 두명이 돌렸던 것으로 기억된다. 손잡이를 돌리며 막대 사이의 좁은 틈에 솜을 밀어 넣으면 목화씨가 들어가는 쪽으로 걸리게 되어 밑에 받혀놓은 함지박에 떨어지게 된다. 다른 한쪽으로는 목화씨가 제거된 솜이 나오게 된다. 나는 씨아의 손잡이를 돌리다 힘이 들면 목화씨가 제거된 솜에 있는 검불을 제거하는 일을 했었다. 삐걱삐걱 소리를 내며 돌아가는 씨아가 마냥 신기했었다. 아마 지금은 박물관에나 가야 볼 수 있는 물건이 되었을 것이다.

목화와 씨아가 내 곁에서 하나하나 사라지는 것 중에 하나라고 생각되어 서글프지만 여러 가지 추억을 기억할 수 있어 마음의 위안이 된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밭 한쪽에 목화를 심어보고 싶다. 어릴 적 기억을 떠올리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