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수필

상수리 묵

얼마 전 점심시간에 반찬으로 묵이 나왔다. 평소 때 라면 별 생각 없이 먹었지만 도토리와 상수리가 열매를 맺고 떨어지는 이 시기가 되면 오래 전 상수리 묵을 만들 던 기억이 난다.

오래 전 몸이 편찮으신 할머니께서 어느날 상수리 묵이 드시고 싶다고 하셨다. 마침 시기가 늦가을이라서 산에 가서 상수리를 충분히 주워올 수 있었다. 만드는 방법을 모르겠다고 할머니께 말씀 드리니 빙긋이 웃으시면서 알려줄 테니 주워오라고 하셨다.

내가 알고 있는 그 동네 상수리 나무를 모두 찾아가서 상수리를 주워왔다. 생각보다 많은 양을 주워올 수는 없었다. 다른 사람들이 많이 주워가서 그런 모양이었다. 하루나 이틀을 더 돌아다녀서 더 많은 양을 주워 올 수 있었다.

상수리를 주워오니 할머니께서는 겉 껍질을 모두 벗겨내라고 하셨다. 껍질이 꼭 밤과 같아서 손으로 벗겨내기가 참 어려웠다. 내가 어렵게 껍질을 벗기고 있으니 할머니께서는 조금 쉬운 방법을 알려주셨다. 절구에 상수리를 넣고 부서지지 않을 정도로 찧은 다음 벗기면 수월하다고 말씀하셨다. 그대로 하니 훨씬 수월하게 두꺼운 껍질을 벗겨낼 수 있었다.

껍질을 모두 벗겨내니 함지박에 넣고 물을 부으라고 하셨다. 이유를 여쭈어 보니 상수리의 떫은 맛을 없애는 과정이라고 말씀하셨다. 하루 정도 지나서 물을 다시 따라 버리고 다시 부으라고 하셨다. 계속 이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데 상수리 맛을 보아 떫은 맛이 사라질 때 까지 하면 된다고 하셨다. 떫은 맛을 없애는데 이틀이나 사흘 정도 걸릴 것으로 기억된다.

떫은 맛을 다 빼고 상수리를 맷돌에 갈라고 하셨다. 난 맷돌을 들어다 맞추고 모두 갈았다. 손자가 혼자서 하는 것이 안쓰러우셨는지 할머니께서는 몸이 불편하신데도 불구하고 맷돌을 같이 돌려주셨다. 어렸을 적 두부를 만드는 콩을 갈 때 맷돌을 같이 돌리며 도와드렸던 생각이 났다.

그 다음으로는 갈려진 상수리를 손으로 꼭 짜서 다른 함지박에 담으라고 하셨다. 갈려있던 상수리를 모두 짜서 물만 남겨진 함지박과 상수리 찌꺼기만 남은 함지박 두개가 남게 되었다. 할머니께서는 상수리 찌꺼기가 들어있는 함지박에 물을 조금만 붓고 다시 짜는 과정을 반복하라고 하셨다. 짜여진 물은 원래 짜여져 있던 물이 있는 함지박에 부으라고 하셨다. 그렇게 하고 나니 꼭 무슨 흙탕물처럼 되어 있었다. 이제 찌꺼기는 두엄에 버리고 함지박에 있는 물은 몇일 가라앉혀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가라앉히는 과정이 생각보다 길어서 나흘이상 걸렸던 것으로 기억된다.

몇일 기다려보니 위에는 맑은 물이 고였고 아래 부분에 엷은 갈색을 띈 침전물이 생겼다. 할머니 말씀대로 위에 맑은 물을 조심스럽게 따라내었다. 다 따라내지는 말라고 하셨다. 그 이유는 나중에 묵이 너무 되면 그때 다시 부어 약간 묽게 만드는데 필요하다고 말씀하셨다. 어느 정도 따라내고 나니 함지박에 남아있는 것을 끓이면 묵이 된다고 말씀하셨다. 묵을 처음 만들어 보는 터라 물이 어떻게 묵이 되나 생각되었다.

휴대용 가스 버너를 마루에 가져 다 놓고 양은 냄비에 부어 끓이기 시작했다. 계속 저으면서 끓였는데 신기하게도 어느 순간 걸쭉하게 되어버렸다. 할머니께서는 그것을 그대로 찬물에 앉히면 묵이 된다고 하셨다. 말씀대로 찬물에 앉히고 다음날 확인해 보니 상수리 묵이 되어 있었다. 칼로 잘라서 할머니께 드렸더니 맛있게 드셨었다. 나도 맛을 보았는데 가게에서 파는 묵과는 차원이 달랐다. 어떨 결에 상수리 묵 만드는 법을 할머니로부터 전수 받게 되었다. 그때 당시에는 묵을 처음 만드는 것이었지만 정말 정성을 다해 묵을 만들었다. 어쩌면 내가 할머니께 드리는 마지막 음식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다행히 그 맛있는 상수리 묵을 드시고 흡족해 하시는 모습을 보니 위안이 많이 되었다.

지금도 우연히 묵을 보면 그때 할머니가 보시는 가운데 묵을 만들던 기억이 난다. 짧은 순간이었지만 그 순간 만큼은 정말 행복했었다. 앞으로 내가 묵을 직접 다시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있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항상 그때 처음 만들던 그 느낌을 기억할 수 있어 다행으로 생각한다. 마음한편 서글픈 마음이 들기도 하지만 정말 잊지 못할 아름다운 기억이다.

농게

내가 어렸을 적에 살았던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바다가 있었다. 가끔씩 동네 아이들과 같이 가서 작은 게나 물고기를 잡았었다. 너무 어려서 그랬는지 어렴풋한 기억만이 남아있다.

정확히 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할머니께서는 동네 아주머니들과 근처 갯벌에 가셔서 바지락을 긁어 오시거나 농게를 잡아오시곤 하였다. 한번 다녀오시면 며칠 동안은 평소에 먹어보지 못한 것을 많이 먹어볼 수 있었다.

그 중에서 제일 기억나는 것이 농게다. 할머니께서는 농게를 잡아오시면 거의 대부분 게장을 담그셨던 것 같다. 크기가 작아서 여러 마리를 먹어야 했지만 항상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맛있게 먹은 기억이 난다. 크기가 작아서 어린 나도 한입에 넣게 그냥 씹어 먹을 수 있을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농게를 잡아오시면 가지고 놀라고 한두 마리 빼 주셨다. 그러면 나는 실로 다리를 묶어 집에서 기른다고 했던 기억이 난다. 빙긋이 웃으시며 민물에서는 살지 못한다는 말을 듣고는 뒤란에 가서 소금을 한 주먹 가지고와서는 물에다 넣고 농게를 기르려고 했던 기억도 난다. 결국 기르려고 하는 게는 죽고 말았는데 어렸을 적에는 소금물에서는 살 수 있다고만 생각해서 왜 죽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농게는 암수의 모양이 다른데 수컷은 한쪽의 집게발이 붉은색을 띄면서 반대쪽에 비해 매우 크다. 어렸을 적에 만나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생물이 좌우 대칭을 이루는데 농게 수컷만은 유일하게 다르게 생겨서 신기하게 생각하였다. 내가 살던 곳에서는 수컷 농게를 ‘황발이’ 라고 불렀었다. 언제인가 할아버지께 왜 이름이 농게냐고 여쭈어 보았던 적이 있었는데 농사꾼이 많이 먹는다 하여 농게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셨다. 사실인지는 아직도 모르겠지만 일리가 있는 말씀이라고 생각된다.

할머니와 갯벌에 마지막으로 갔었을 때가 봄 이었는데 이상하게도 넓은 갯벌에 농게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난 바다가 예전에 비하여 오염이 많이 되어 많이 사라졌다고 생각을 했었다. 그래도 궁금하여 농게들이 왜 이렇게 없냐고 여쭈어 보았다. 할머니께서는 빙긋이 웃으시며 보리동냥을 나가서 그렇다고 말씀하셨다. 그것이 무엇이냐고 여쭈어 보았더니 보리를 추수할 이 때쯤에 농게들이 보리를 동냥하기 위해서 나가 있어 갯벌에 없다고 말씀하셨다. 과학적인 사실은 아니겠지만 할머니의 말씀이 참 재미있었다.

농게를 먹는 것 보다는 잡는 것이 더 재미있었다. 한쪽 팔이 거의 모두 들어가도록 구멍을 파야 잡을 수 있다. 갯벌에 수많은 구멍 중에서 어떤 것이 농게가 사는 것인지 모르니까 가만히 보고 있다가 들어가는 곳을 파서 잡았다.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닌데 열심히 구멍을 파고 있으면 바로 옆으로 나와서 마치 놀리기라도 하는 것처럼 느꼈질 때도 있었다. 손을 물려서 깜짝 놀라기도 하고 상처가 많이 나기도 한다. 많이 잡지는 못해도 농게와 씨름하는 것 자체가 재미있었다.

농게를 마지막으로 본적이 언제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여러 번 바닷가에 가서 농게를 잡았지만 마지막으로 할머니와 함께 갯벌에 갔던 일은 잊혀지지 않을 것 같다. 다시 한번 갯벌에 가서 농게를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아득한 추억을 되살릴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