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Android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Android Emulator) 바로 실행하기

개요

앱을 테스트 할 때 에뮬레이터를 여러개 실행해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ndroid Studio 에서 AVD Manager 를 실행 후 생성된 에뮬레이터를 선택해서 시작하게 됩니다. 그런데 Android Studio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에뮬레이터만 시작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ndroid SDK 경로 확인

Android SDK 가 설치된 경로를 확인합니다. 그 경로 하위에 emulator 라는 폴더가 있을 겁니다. 그 안에 emulator.exe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DK 경로 하위 emulator 폴더내용

배치파일 생성

설치 경로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emulator -list-avds

그러면 생성되어 있는 에뮬레이터의 리스트가 나타납니다.

생성된 에뮬레이터 목록

간편하게 실행하고자 하는 이름을 정확히 입력해서 다음과 같이 배치파일을 생성합니다.

@echo off
yoursdkpath\emulator\emulator.exe -avd "Pixel_XL_API_27_Oreo_"

이 파일을 바탕화면에 복사하거나 바로가기를 생성해서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시면 됩니다. 배치파일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되면서 에뮬레이터가 나타납니다.

에뮬레이터 실행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화면 깜빡임 없이 녹화하기

개요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고 동작화면을 녹화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 기기의 화면을 다른 기기로 녹화하기도 하고 에뮬레이터의 화면을 녹화하기도 합니다. 필자는 주로 에뮬레이터 화면을 녹화해서 동영상을 만듭니다.

에뮬레이터에서 녹화는 다음 이미지와 같이 Extended Controls 의 Record and Playback 메뉴를 사용하면 됩니다.

Extended Controls 화면

얼마 전 에뮬레이터에서 앱 동작영상을 녹화해서 재생해 보니 화면이 심하게 깜빡이면서 알아볼 수 없는 정도가 되었습니다.

해결

검색을 해보니 같은 현상을 접한 개발자들이 있었습니다. 먼저 에뮬레이터의 설정파일을 변경하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필자의 경우 설정파일의 내용은 에뮬레이터가 다시 시작되면 초기화되어 의미가 없었습니다.

성능 옵션을 조정해 보라는 글도 있었습니다. 에뮬레이터 그래픽 옵션을 다음 이미지와 같이 Hardware – GLES 2.0에서 Software – GLES 2.0 으로 변경하면 속도는 조금 느려지지만 화면 녹화는 깜빡임 없이 제대로 됩니다. 개발 환경에 따라서는 위와 반대로 설정해야 될 수도 있습니다. 원래 참조했던 게시물에서는 Hardware – GLES 2.0 로 변경해서 깜빡임없이 녹화가 되었다고 합니다.

에뮬레이터 그래픽 옵션